에어리 원반[airy disk]
빛은 파동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회절간섭효과에 의해 회절상이 나타난다. 그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‘에어리 원반’이라 한다. 에어리 원반의 중심에 밝은 빛의 약 86%를 차지하며 그 주위에 어둡고 밝은 환들이 차례로 나타난다. 대기조건이 나쁠수록 망원경 구경이 작을수록 이 원반의 크기는 더 커진다. 에어리 원반의 반경 γ은 입사광원의 파장에 비례하고 렌즈의 구경에 반비례한다.
[네이버 지식백과] 에어리 원반 [-圓盤, Airy disk] (지구과학사전, 2009. 8. 30., (사)한국지구과학회)
레일리 기준[Rayleigh criterion]
광학에서 이미지의 분해능(resolution)을 언급 할 때, 적용하는 기준으로 영국의 물리학자 레일리가 제안한 인접한 두 광원을 구분할 수 있는 최소 거리.
에어시원반의 central maximum이 다른 에어리 원반의 minimum값에 존재할때, 두 점이 구분가능하고, 이 떄 레일리기준이라 한다.
point spread function(PSF)
impulse response, Green function 이라고도 한다. (geometric point는 spatial Dirac delta-function으로 표현가능)
에어리원반 이미지의 spatial distribution을 나타낸 것이 point spread function(PSF)이다.
두 점이 레일리기준보다 가까이 위치하게 되면 에어리원반이 합쳐져 구분할 수 없다.
PSF에서 FWHM(Full Width Half Maximum) << -- >> spatial resolution
3D point spread function(PSF)를 통해 3차원의 resolution을 구할 수 있다.
여러 축에서 point spread function을 구하여, imaging processing이 가능하다.
댓글